2호 첫 독감 예방접종 기념으로 독감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호도 맞았어야 했는데 내일 체육대회라는 큰 일정이 있어서 다음으로 미룰 수밖에 없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이란?
독감 예방접종은 질병관리청에서 실시하는 국가예방접종을 말하는데요. 독감 예방접종을 통해 면역을 갖게 해주는 백신을 말합니다.
올해는 특히나 독감이 유행한다고 해요. 그래서 독감 예방 주사를 꼭 맞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은 무료 예방접종과 유료 예방접종으로 나뉘는데요. 나라에서 어린이, 임산부, 어르신에게 무료로 접종을 해줍니다. 그 외에 해당되는 사람은 유료로 접종을 합니다.
독감 예방접종 시기는?
질병관리청에서는 독감 예방접종을 2023년 9월 21일(수)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실시한다고 보도했는데요.
무료 예방접종 대상자는 대상자별 접종 시기가 따로 있습니다. 접종 대상자별 독감 예방접종 시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어린이
- 생후 6개월 ~ 만 9세 미만: 2010.01.01~2023.08.31 출생자
- 2회 접종대상: 2023.09.20(수) ~ 2024.04.30(화)
- 1회 접종대상: 2023.10.05(목) ~ 2024.04.30(화)
어린이의 경우 2회 접종대상자와 1회 접종대상자로 나뉘는데요.
2회 접종대상자는 처음 독감 예방접종을 하는 어린이를 말합니다. 이 경우에는 2번에 걸쳐 맞게 되는데 1달 간격으로 맞습니다. 생후 6개월에서 만 9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해당됩니다.
1회 접종대상자는 독감 예방접종을 맞은 적이 있는 어린이를 말합니다. 만 13세 이하이며 독감 예방접종을 맞은 이력이 있으면 1번만 맞으면 됩니다.
임산부
- 2023.10.05(목) ~ 2024.04.30(화)
임산부는 임산부임을 증명하는 서류, 임신확인서나 산모수첩이 있으면 접종할 수 있습니다.
어르신
- 75세 이상: 2023.10.11(수) ~ 2024.04.30(화)
- 70~74세: 2023.10.16(월) ~ 2024.04.30(화)
- 65~69세: 2023.10.19(목) ~ 2024.04.30(화)
어르신의 경우 연령에 따라 다르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독감 예방접종 그 밖의 팁
독감 예방접종은 2주에서 1달 뒤에 백신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해요. 추운 겨울철이 오기 전에 빨리 접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 아기들은 면역력이 약하니까요.
돌 전 아기가 시기별 예방접종을 했다면 2주 뒤에 독감 예방접종을 맞을 수가 있습니다. 시기 잘 확인해 보시고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2호가 2주 전에 예방접종을 해서 병원에서 가능한 시기에 맞춰 예약을 해줬거든요. 병원에 문의하셔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을 하고 나면 약간의 미열이 있을 수 있고 예방 주사 맞은 곳이 뻐근할 수 있습니다.
접종 당일은 목욕을 하면 안 되고 무리한 활동은 자제해 주셔야 하는데요. 다음 날 큰 일정이 있다면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셔서 날짜를 잡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호가 예방접종을 못한 이유가 다음 날 첫 체육대회인데 즐겁게 보내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맺음말
2023년 독감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무료 대상자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늦지 않게 맞으시는 게 좋겠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아기를 키우는 엄마도 함께 맞으면 좋겠죠? 다만, 무료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하게 되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병원별로 비용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병원에 문의 후 접종하시면 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아기 열 잡는 방법
아기 열은 엄마로서 굉장히 안쓰럽고 마음 아픈 일이죠? 대신해 줄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아기의 열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예요. 열을 잡지 못할 경우 엄마들은 불안해질 수 있
a-gerbera.tistory.com
댓글